짧은 수필(원고지3장)

아재는 왜 '아재개그'만 할까?

장 산 2021. 1. 14. 20:31

 

 먼저 ‘아재개그’의 용어 정의부터 해보자.

 

‘개그’는 ‘웃기는 일’이고, ‘아재개그’는 ‘아재+개그’이니

‘아재가 웃기는 짓 하는 것’ 쯤으로 풀어볼 수 있겠다.

근데, 왜 ‘아저씨’나 ‘어른’이 아니고 ‘아재’냐? 그게 바로 핵심이다.


 ‘아재’는 분위기에 맞지 않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사람을 급 낮춰 부르는 말이다.

 

주로 젊은 사람이 자신보다 나이 많은 사람을 비꼴 때 이렇게 부른다.

정리하면, 아재개그는 ‘나이 많은 사람이 젊은이들 앞에서 눈치 없이 하는

웃기지도 않는 짓거리’가 되겠다.


 여기서 ‘웃기지도 않는다’는 표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아재끼리는 ‘좀 웃긴다’는 소리 듣던 게

젊은 사람 앞에서는 왜 그리 썰렁하게 돼버리느냐는 거다.

나름 성의껏 웃긴다고 했는데도 말이다.


 물론, 과부 신세타령하듯 다 아는 얘길 아재가 눈치 없이 했을 수도 있다. 

 

래도,아재가 달리 아재인가?

아재가 아재로서 아는 걸 아재답게 하는 게 ‘아재개그’밖에 더 되겠나!

아재는 그저 같이 끼고 싶어서 그럴 뿐이다. 공감 못하는 건 아재가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아재개그 하나.

 

‘인천 앞바다’의 반대말은?  ‘인천 엄마다’,  ‘스님이 길을 가다가 9를 보면?’  ‘구본승’,

‘수박이 한통에 오천 원이면, 두통은?’  ‘게보린’.

다 맞히면 아재 인증이다.


혹시 이걸 보고, 

‘진짜 웃기지도 않는 짓거리 한다’는 분이 계시다면 아재개그 완전 성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