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14

걷기에 대한 단상(斷想)

늘 그렇듯, 사·오월은 집안에만 머물기 참 어려운 계절이다. 겨울을 이겨낸 신선한 기운(氣運)들이 천지에 넘쳐나기 때문이다. 온유한 햇살과 산들바람, 물 오른 나무와 만개한 꽃들, 분주히 움직이는 곤충과 새들, 반짝이는 시냇물과 파닥거리는 고기떼들... 이맘때의 풍경은 어떤 복잡한 마음의 꼬임이라도 순식간에 해체해 버린다. 알 수 없는 에너지에 순순히 동화(同化)되고 만다. 충만한 생기(生氣)를 느끼며 걷는 일은 축복이다. 야외활동이야 사실 여름이 더하겠지만 높은 에너지는 사람을 쉽게 들뜨게 한다. 마음의 심란(心亂)은 에너지가 불균형일 때 오기 쉽다. 모자라거나 과하지 않을 때 마음이 평온해지는 건 익숙한 경험칙(經驗則)이다. 가을이 이런 의미에서 걷기 좋은 계절임은 봄처럼 확연하다. 오래되거나 혹은 ..

일반 수필 2022.09.05

핵무기와 재력

과거 80년대 마이크 타이슨이라는 괴물 같은 권투선수가 있었다. 펀치가 얼마나 셌던지 거의 모든 시합을 KO로 이겼다. 한 방 맞았다 하면 경기가 끝나버려 그의 별명은 ‘핵주먹’이었다. 핵은 한 방으로도 전쟁을 종결 지을 수 있는 절대무기이다. 에 나오는 ‘절대반지’와 같다. 핵무기를 보유하는 순간, 국가 간 힘의 균형은 급격하게 기울어진다. 이런 힘의 비교우위는 능력이 안 되는 나라를 눈치 보고 주눅 들게 만든다. 핵무기는 아이러니하게도 실제로 사용되지 않을 때 힘을 발휘한다. 실전(實戰)에 활용된다면 그땐 서로 ‘확증파괴(MAD)’가 되어 모두 공멸(共滅) 하기 때문이다. 말인 즉, 핵을 못 가진 나라에게만 통하는 공갈무기라는 의미이다. 없는 국가에게 ‘나 이런 거 있어, 까불지 마’ 하는 식이다. ..

일반 수필 2022.01.08

고 통

그럴 수만 있다면, 고통(苦痛)은 어떻게든 회피하려는 게 인지상정(人之常情)이다. 칼에 베이고 총에 맞은 그 순간의 고통은 말로 다할 수 없을 것이다. 넘어져 어디가 깨질 때도 몹시 아프다. 치통이나 두통도 사람을 못내 성가시게 만든다. 고행자(苦行者)가 아니라면 고통을 체험하고 싶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행복하기도 어려운데 고통이라니, 말하나 마나 한 얘기이다. 아이러니하게도, 고통이 일어나는 순간에 우리는 진정 ‘살아있음’을 느낄 수 있다. 살아있지 않다면 고통도 모를 것이다. 괴롭지만, 고통은 살아 있다는 증거이고 생존은 고통을 통해 각성(覺性)된다. 어울리지 않아도, 고통은 삶과 한 통속이다. 고통은 상처부위가 아물면 사라진다. 순간의 고통이 아무리 강렬해도 아문 상처는 더 이상 아프지 않다. 총..